본문 바로가기

영화추천

영화 '박화영',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줄거리…OTT로 다시 주목받는 이유

728x90
반응형

 

영화 '박화영'

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줄거리
OTT로 다시 주목받는 이유

이보다 더
현실 같을 수 있을까.

영화 <박화영>은
한창 청소년기의
가장 불안한 경계 위에 있는
10대들의 삶을
날것 그대로 담아낸 작품이다.

한 편의 극영화이지만
마치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
생생함과 거침없는 리얼함.

그래서일까.
개봉 당시에도 강한 반향을 일으켰고,
최근 OTT 플랫폼에서
다시 조명되며
화제를 모으고 있다.

 

📺

 

'엄마'가 아닌 '박화영'

그녀는 왜 친구들의 숙소가 되었을까

박화영(강민아 분)은
친구들의 집이자
도피처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.

가출 청소년들은
그녀의 원룸에 모이고,
혼잣말 같던 약속과 다짐은
곧 규칙처럼 자리 잡는다.

‘밥은 내가 해줄게’
‘잘 데 없으면 우리 집 와’
그녀는 엄마가 되기로 한다.
그저 살아남기 위해서.

그러나
누구도 그녀를 진심으로 이해하지 않고,
그녀가 제공한 공간과 돌봄은
감사보다 무시로 돌아온다.

그 안에서
자존감은 붕괴되고,
현실은 무너져내린다.

 

📺

 

불편하지만

외면할 수 없는 진실

<박화영>은
선악이 뚜렷한 영화가 아니다.
이유 있는 가해자,
어딘가 모자란 피해자,
그리고 방관하는 주변 어른들.

모두가 조금씩
불편하고, 무책임하다.

그렇기에 더 현실적이다.
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의
맹점을 찌르기 때문이다.

대사는 날것 그대로,
감정은 폭력적으로 터지고,
카메라는 거리낌 없이
청소년들의 방황을 비춘다.

그리고 관객은
그 불편함 속에서
‘도대체 누가 잘못했는가’를
끊임없이 되묻게 된다.

 

📺

 

OTT로 재조명되는

10대 영화의 새로운 결

최근 웨이브와 왓챠를 중심으로
<박화영>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.

이유는 간단하다.
지금도 여전히,
박화영 같은 아이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.

단순히 청소년 범죄를 다룬 영화가 아닌,
‘보이지 않는 아이’의 목소리를 담은 영화.
그 목소리를
이제서야 비로소
듣게 된 관객이 많아진 것이다.

강민아의 연기 역시
정제되지 않은 감정으로
영화를 한층 더 생생하게 만든다.

다시 보면,
처음보다 더 무겁고
또 더 안타깝다.

 

📺

 

📌 영화 정보 요약

  • 개봉: 2018년
  • 감독: 이환
  • 출연: 강민아, 권현빈 외
  • 장르: 드라마 / 청소년
  • OTT: 웨이브, 왓챠 등에서 시청 가능
728x90
반응형